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innerjoin
- system
- powerlevel10k
- zsh
- Redis
- toChar
- Max
- ohmyzsh
- Prune
- stop
- redis-cli
- LISTAGG
- ubuntu
- RM
- LPAD
- docker
- client
- kubeadm
- Decode
- WSL
- concat
- theme
- exec
- jsp
- kubernetes
- root
- customizing
- rmi
- Server
- Linux
- Today
- Total
목록Docker. Kubernetes (18)
Developer Joshua의 개발 블로그

FROM은 이미지 생성시 기반이 되는 이미지 레이어 입니다. : 형식으로 작성하는데 태그를 안붙이면 자동적으로 가장 최신 것을 다운 받음 ex) ubuntu:14.04 우분투도 버전이 많기 때문에 해당 부분에 버전을 넣어주면 됩니다. RUN 도커이미지가 생성되기 전에 수행할 쉘 명령어 CMD 컨테이너가 시작되었을 때 실행할 실행 파일 또는 쉘 스크립트입니다. 해당 명령어는 Dockerfile 내 1회만 쓸수 있습니다. 베이스 이미지에 실제 값으로 추가해주면 FROM RUN CMD 이 구조체인데 FROM에 쓸수 있는 값이 상당히 많다. ---------------------------------------- 이제 베이스 이미지부터 실제 값으로 추가해주자 베이스 이미지는 ubuntu를 써도 되고 centos..
Dockerfile이란 ? 도커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설정 파일이며, 컨테이너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설정들을 정의해 주는 곳입니다. 도커 파일을 만드는 순서 -> 그전에 도커 이미지가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해야 한다. 도커 파일을 만드는 순서 1. 베이스 이미지를 명시해준다. ( 파일 스냅샷에 해당 ) 2. 추가적으로 필요한 파일을 다운받기 위한 몇가지 명령어를 명시해준다.( 파일 스냅샷에 해당 ) 3. 컨테이너 시작 시 실행 될 명령어를 명시해준다. ( 시작 시 실행 될 명령어에 해당 ) 베이스 이미지는 무엇인가 ? 이미지는 레이어로 구성이 되어 있음 이미지 안에 추가적인 요소를 넣으면 레이어 1개가 추가가 되는 것 -- 레이어 중에 가장 근본이되는 것이 ( 베이스 이미지(Base Im..
1.도커이미지를 직접 만들 수 있고 2.도커 허브에 올려서 공유할 수 도 있음 3.docker 이미지는 컨테이너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설정이나 종속성들을 갖고 있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입니다. 4. 도커이미지는 Dockerhub에서 이미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것을 이용 할 수도 있으며, 직접 도커이미지를 만들어서 사용할 수 도 있고 직접만든 것을 Dockerhub에 업로드 할 수도 있습니다. ---------------------------------------------------------- Dockerfile 이란 Docker Image를 만들기 위한 설정 파일 입니다. 컨테이너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설정들을 정의해준다. Dockerfile 작성 -> 도커 클라이언트 -> 도커 서버 ..

보편적인 명령어 ------------ sh Mac -------------- zsh bash Win --------------- powershell 1. 첫 powershell 실행 -> docker run alpine ping localhost 컨테이너 작동(ping 주는것) 2. 다른컨테이너 하나 더 켜서 -> 0. docker ps -> 이미켜진 다른 도커의 컨테이너 아이디를 알아냄 **docker exec -it 다른컨테이너 아이디 ls -> 1. docker exec -it 3f54b05f3a32 ls -> 2. docker exec -it 3f54b05f3a32 echo "hello" docker exec -it 3f54b05f3a32 이부분을 계속 쳐줘야되고 까다롭기 때문에 docker e..

docker exec run은 새로운 컨테이너를 만들어서 실행 exec은 이미 실행중인 컨테이너에 명령어 전달 레디스 서버가 작동하고 있을때 레디스 클라이언트를 실행 해 레디스 서버에 전달하고 레디스 클라이언트 redis -cli 레디스 서버 docker run redis 컨테이너 밖에서 레디스 서버를 접근하려면 막힘 레디스 클라이언트도 컨테이너 안에서 실행해야되고 docker exec -it redis-cli exec을 이용해 컨테이너로 들어가서 redis-cli를 실행해야 한다. -it를 반드시 붙여야 한다. redis에 접속한 상태에서 set key1 hello 하면 OK가 뜨고 get key1을 입력하면 "hello"를 출력 받을 수 있다.
VM 논리적으로 공간을 분할하여 VM이라는 독립적인 가상 환경의 서버 이용 가능 하이퍼 바이저는 호스트 시스템에서 다수의 게스트 OS를 구동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 그리고 하드웨어를 가상화하면서 하드웨어와 각각의 VM을 모니터링하는 중간 관리자이다. 하나의 OS가 아닌 다수의 게스트 OS를 구동할 수있음 네이티브 하이퍼 바이저 호스트형 하이퍼 바이저 -> 우리가 주로사용하는 하이퍼 바이저 하이퍼 바이저를 OS 위에서 실행 하드웨어 -> 호스트 OS -> 하이퍼 바이저 -> 게스트 OS 게스트 OS에 에뮬레이터 하는 방식으로 오버헤드가 크다 하지만 게스트 OS 종류에 대한 제약이 없고 구현이 다소 쉽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함 도커 컨테이너 컨테이너들이 여러 프로그램을 격리를 시킴 하이퍼 바이저 기반 V..
docker run docker start docker stop docker kill docker start -a 컨테이너ID docker stop 컨테이너ID docker kill은 즉각 정지 stop과 kill의 차이 stop은 gracefully 여유롭게 중지시킴 kill은 즉각 중지 컨테이너 삭제하기 컨테이너 삭제 docker rm 실행중인 컨테이너는 중지한 후에 삭제해야함 모든 컨테이너 삭제 docker rm 'docker ps -a -q' 이미지 삭제 docker rmi 도커의 모든 시스템 삭제 docker system prune 한번에 컨테이너, 이미지, 네트워크 모두 삭제

터미널을 2개 실행하고 한쪽 터미널에서 docker run redis를 이용해 redis를 실행해준다. 그리고 한 쪽 터미널에서 docker ps로 실행중인 컨테이너를 확인하고 docker exec -it redis-cli로 레디스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레디스 클라이언트 쪽에서는 redis-cli를 레디스 서버쪽에서는 docker run redis를 명령어를 사용해 레디스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간단하게 set과 get을 이용해 키값을 주고 불러올 수 도 있다. exit로 레디스 서버에서 나가고 docker stop으로 레디스 서버를 멈춘다. 레디스 서버 종료되는 모습 bye bye

docker ps -a로 지금까지 실행한 컨테이너를 조회한다. 가장 최상단에 있는 7bf로 시작하는 컨테이너를 삭제하면 이렇게 7bf로 시작하는 컨테이너가 삭제된 걸 볼 수 있다. 모든 컨테이너를 다 삭제하려면 docker rm 'docker ps -a -q'를 사용하면되고 도커 이미지 자체를 삭제하려면 docker rmi 를 사용해 삭제하면 된다. 도커 시스템 자체를 네트워크와 이미지 컨테이너 모두를 삭제하려면 docker system prune을 사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