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ohmyzsh
- client
- LISTAGG
- LPAD
- innerjoin
- powerlevel10k
- stop
- Prune
- rmi
- WSL
- redis-cli
- RM
- kubernetes
- Linux
- Decode
- system
- Max
- exec
- root
- toChar
- docker
- zsh
- customizing
- Redis
- jsp
- Server
- theme
- concat
- kubeadm
- ubuntu
- Today
- Total
Developer Joshua의 개발 블로그
kubernetes 설치 하기 본문
리눅스 우분투 환경이 셋팅이되면 쿠버네티스를 사용할 수 있다.
우선 sudo apt-get update로 우분투 업데이트를 진행해준다.
upgrade도 진행해준다.
cat <<EOF | sudo tee /etc/modules-load.d/k8s.conf
br_netfilter
EOF
cat <<EOF | sudo tee /etc/sysctl.d/k8s.conf
net.bridge.bridge-nf-call-ip6tables = 1
net.bridge.bridge-nf-call-iptables = 1
EOF
sudo sysctl --system
리눅스 노드의 iptables가 브리지된 트래픽을 올바르게 보기 위한 요구 사항으로, sysctl 구성에서 net.bridge.bridge-nf-call-iptables 가 1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캣 명령어를 사용한다.
이어서 필수 포트를 확인한다.
telnet 127.0.0.1 6443
sudo apt-get install -y apt-transport-https ca-certificates curl
apt 패키지 색인을 업데이트하고, 쿠버네티스 apt 리포지터리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한다.
구글 클라우드의 공개 사이닝 키를 다운로드 한다.
sudo curl -fsSLo /usr/share/keyrings/kubernetes-archive-keyring.gpg https://packages.cloud.google.com/apt/doc/apt-key.gpg
쿠버네티스 apt 리포지터리를 추가한다.
echo "deb [signed-by=/usr/share/keyrings/kubernetes-archive-keyring.gpg] https://apt.kubernetes.io/ kubernetes-xenial main" | sudo tee /etc/apt/sources.list.d/kubernetes.list
apt 패키지 색인을 업데이트하고, kubelet, kubeadm, kubectl을 설치하고 해당 버전을 고정한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y kubelet kubeadm kubectl
sudo apt-mark hold kubelet kubeadm kubectl
sudo apt-get install -y kubelet kubeadm kubectl 명령어로 쿠버네티스 관련 툴을 설치해준다.
kubeadm : kubernetes 클러스터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하는 툴이다.
kubelet : 클러스터의 모든 머신에서 실행되며 Pod 및 컨테이너 시작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이다.
kubectl : 클러스터와 통신하는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 유틸이다.
kubeadm은 모든 마스터 노드의 구성요소(etcd, api server, controller manager, scheduler)를 kubelet을 통해 Pod로 실행하려고 한다.
마스터 노드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Pod 및 내부 컨테이너로 띄우고 유지, 관리하기 위해 마스터 노드 내에도 kubelet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직접 마스터 노드에 구성요소들을 Docker 데몬(systemd)으로 실행시키는 방법도 있다.
우선은 kubelet kubeadm kubectl을 다 설치해준다.
sudo apt-mark hold kubelet kubeadm kubectl
kubelet은 이제 kubeadm이 수행할 작업을 알려 줄 때까지 크래시루프(crashloop) 상태로 기다려야 하므로 몇 초마다 다시 시작된다.
https://kubernetes.io/ko/docs/setup/production-environment/tools/kubeadm/install-kubeadm/
kubeadm 설치하기
이 페이지에서는 kubeadm 툴박스 설치 방법을 보여준다. 이 설치 프로세스를 수행한 후 kubeadm으로 클러스터를 만드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kubeadm을 사용하여 클러스터 생성하기 페이지를 참
kubernetes.io
해당 블로그는 kubeadm 설치를 안내해주는 쿠버네티스 공식 사이트를 참조했고 다음은
Creating a cluster with kubeadm
Using kubeadm, you can create a minimum viable Kubernetes cluster that conforms to best practices. In fact, you can use kubeadm to set up a cluster that will pass the Kubernetes Conformance tests. kubeadm also supports other cluster lifecycle functions, su
kubernetes.io
kubeadm을 통해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법을 알아보자.
** 참고
위 화면과 같이 apt-get update가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sudo su명령어로 root계정이로 이동해서 진행하면 된다.
'Docker.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hub에서 pulling 하기(hello world) (0) | 2022.02.01 |
---|---|
Docker에서 Redis 설치하기 (0) | 2022.02.01 |
minikube 설치하고 기본적인 명령어 익히기 (0) | 2022.02.01 |
docker 튜토리얼을 참고하여 image 만들기 실습 (0) | 2022.01.30 |
docker 설치 및 시작하기 (0) | 2022.01.30 |